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eTc
글 수 1,905
Ratings: |
|
---|---|
ARTIST: | Emilio Locurcio |
ALBUM TITLE: | L'Eliogabalo |
YEAR: | 1978 |
COUNTRY: | Italy |
GENRE: | Rock Progressivo Italiano |
LABEL: | RCA(2011) |
TRACKS: | a) "Monologo D'Apertura": 1 Tutto Quello Che Mi è Stato Tolto Lo Rivoglio (1:50) b) "La Veglia": 2. Autoritratto dentro Stanze Elettroniche (6:14) 3. A Scaldarci Al Vino Dolce Dei Chilometri (0:44) 4. Giovanna Labbromorto (4:22) c) "Il Viaggio": 5. A Scaldarci Al Vino Dolce Dei Chilometri (0:52) 6. Dal Finestrino Del Treno (4:50) 7. La Ferrovia Celeste (3:42) d) "La Visione": 8. La Primavera Feroce (2:10) 9. La Scelta Di Essere Veramente Liberi (3:22) 10. Eliogabalo Imperatore (5:18) 11. La Gente In Strada (2:52) e) "L'Attesa": 12. La Morte Di Eliogabalo (3:30) 13. Avvertenze- Finalino Per Altri Inizi (1:36) |
MUSICIANS: | - Rosalino cellamare (Ron) / voice on 6, 7, 13 - Lucio Dalla / voice on 10, 13 and accordion - Teresa De Sio / voice on 6, 12 - Emilio locurcio / voice on 1, 2, 4, 9 and 10 , lyricist (no 8, 11), composer (no 8, 11) - Claudio Lolli / voice on 3, 5 and 10 - I Crash / rhythmic parts - I Pierrot Lunaire / acousic parts - Gli Odeon / woodwind section - Gerardo Abbate / violin - Mario achilli / drums - Ernesto Bassignano / chorus - Faffo bianchi / sax - Francesca Cadispoti / chorus - Claudio Falco / guitars - Gildo Falco / bass - Gaio Cocchio / guitars, mellotron, chorus, composer (8, 11) - Leonardo Gatta / voice, chorus - Paolo Maestrelli / guitars - Piero Cannizzaro / chorus, mixage - Pino Sannicchio / keyboards - Arturo Staltieri / piano, guitars, composer (8, 11) |
원본출처: | Marquee's Encyclopedia of European-Rock 1966~1987 |
Emilio Locurcio – L'Eliogabalo
화려한 일러스트 커버에 담겨진 Emilio Locurcio 명의의 앨범 <L’Eliogabalo>는 그 자신외에 루치오 바라, 데레사 데 시오, 클라우디오 로리를 배역으로 앉힌 오페레타를 수록하고 있다. 이탈리어어로 빠르게 읊조리는 창법으로 인해 본작의 선호도가 갈릴 듯한 느낌이 들긴 하여도, 대단히 완성도 높은 프로그레시브록을 들을 수 있다. 피에로 뤼네르, 크래쉬, 오데온 새 그룹이 배경 연주를 맡고 있는데, 주목할 만한 그룹인 피에로는 주로 어쿠스틱 파트를 담당, 피아노나 멜로트론 주법에서 그 모습을 엿볼 수 있다. 그러나 그들의 여주를 전제로 한 평가는 피하는 것이 온당하다. 어떤 파트에 바늘을 얹든간에 그 묵직하고 확실한 솜씨는 같은 것이다. 70년대 후기를 대표하는 좋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.